더 똑똑한 생산직 구직자가 되는 방법을 소개드립니다. 취업 과정에서 헷갈렸던 정보들과 고수들의 꿀팁을 정리했습니다.
취린백과의 두 번째 컨텐츠는 생산직 직무 전체 정리 1편입니다.
생산직 직무 전체 살펴보기
생산직의 경우 같은 직무라도 업종에 따라 다른 역할을 수행하거나 회사별로 부르는 명칭이 다르기도 합니다. 세부적인 차이를 파악하기 전, 전반적인 분류를 살펴보겠습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 중 생산직 포함 산업]
D.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
E.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F. 건설업
H. 운수 및 창고업
N.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한국표준산업분류 중 생산기능직이 포함되는 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든 업종을 포함하기에 세부적인 분류도 되어있지만 법적으로 업종을 구분하기 위한 자료이므로 직관적이지 않습니다.
전체적인 업종분류의 대략적인 흐름이나 해당 직군이 어떤 업종으로 분류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고초대졸닷컴 생산직 직무 분류
고초대졸닷컴에서 생산직 현직자와 함께 새로운 직무 분류를 진행했습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를 기준으로 나뉘어 있던 업종과 직무를 생산기능직 현직자에 맞춰 통합시키고, 직무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모든 업종을 포함하였습니다.
두 단계에 걸쳐 세분화 함으로써 모든 직무를 포함하면서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합니다. 앞서 말했듯 모든 상황에 알맞게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니 참고자료로 사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어떤 직무를 가장 많이 뽑을까?
모든 직무를 살펴볼 수 없기 때문에 고초대졸닷컴 내부의 채용공고에서 가장 많이 선발되는 직무를 3개를 선정하고 분석해보겠습니다.
[선발 Top3 직무]
품질(14.4%) | 실험, 검사, 연구실, QA
설비(14.3%) | 동력, 에너지, 공조냉동, 가스설비, 전력설비, 기계설비
가장 많이 선발된 직무는 생산입니다. 많은 2차 직무를 포함하였기에 나타나는 결과로 보입니다. 이후 품질과 설비 순으로 많이 선발되었습니다.
생산 직무 자세히보기
생산기능직군에서 가장 대표적인 직무인 생산 직무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제조업의 시작과 끝, 오퍼레이터
오퍼레이터(Operator)란 말 뜻 그대로 기계를 조작하는 사람, 조작원을 지칭합니다. 기계를 조작해 회사의 제품을 생산하는 작업자입니다.
각 업종별 예시를 보며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석유화학 분야(S-OIL) 예시]
• DCS에서 모든 공정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시설을 마련하고 원격으로 제한되는 업무에 대해 Field 근무자가 확인 및 조치를 하는 방식으로 업무 진행
• 조정실에서 DCS 조작
<FIELD 오퍼레이터>
• 현장 설비 점검(윤활유 레벨 점검, 냉각수 작동여부 점검, 노후된 설비 및 배관 교체, 샘플 채취)
• 안전환경 관리(공정 안전관리, 작업 및 운전상황 파악을 통한 위험 예측, 사고 발생시 출동 및 비상조치)
[반도체 분야(SK Hynix) 예시]
반도체장비 Operation을 통한 제조 또는 제조지원 업무, 반도체 제품의 특성 및 Data입력, 품질관련 시험 및 불량 요인 검사 업무, 지수 향상을 위한 생산실적 분석 및 개선하는 업무를 진행합니다.
전공 |
고등학교 또는 전문대 학력 소지자로 전공무관
근무형태 |
4조3교대 근무(07:00~15:00/15:00~23:00/23:00~07:00)
반도체의 경우는 다른 업종과 다른 형태를 보입니다. SK하이닉스 오퍼레이터는 여성이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컴퓨터를 통해 전산작업이나 계측을 진행합니다.
오퍼레이터의 경우 4조 3교대 형태의 교대근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계를 다룬다는 특징은 모든 분야에서 같지만, 설비 점검이나 관리를 위해 습득해야하는 지식이 직무 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작동하는 기계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생산품에 대한 이해도 필요합니다.
부르는 직무의 이름도 생산시설운전, 생산 및 관리 등 회사마다 상이하게 나타납니다. 철강 업계의 경우 조업직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오퍼레이터는 흔히 엔지니어와 같이 사용되기도 하는데요. 통상적으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두 용어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오퍼레이터 vs 엔지니어]
• 4년제 학사, 석사, 박사 이상의 학력 요구
• 사원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팀장) > 임원 순의 직급체계
• 공장에서 사무직, 고가 장비의 대규모 수리 등의 역할
• 회사에 근무하는 기간이 비교적 짧음
[오퍼레이터]
• 고등학교 졸업, 전문대 졸업 이상의 학력 요구
• 사원, 주입, 책임 등 회사마다 지칭하는 직급이 다른 경우 존재
• 일반적으로 현장직 업무 수행
• 노조가 존재하는 기업의 경우 정년이 보장되는 경우가 많음
오퍼레이터 필수 역량
(협동) 기업마다 작동하는 기계는 모두 다릅니다. 직접 현장에서 운전하며 동료와 선배에게 배우며 익혀야 하는 것이 많은 직무입니다. 현장에서 함께 일하는 동료들과 함께 협력해야 안전하고 효율적인 업무가 가능합니다.
(업무 지식) 오퍼레이터는 꾸준히 공부해야 합니다. 본인의 기계에 대한 수준 높은 이해는 기본입니다. 담당하는 설비의 동작방식이 변하는 경우나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는 경우 등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도 필수입니다.
오퍼레이터 추천 자격증
• 위험물산업기사
• 산업안전산업기사
• 가스산업기사
장비 가동의 최적상태를 제공하는 메인트(메인터넌스)
메인트(메인터넌스)는 장비가 지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메인터넌스(maintenance)의 뜻과 같이 생산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주로 반도체 분야에서 채용이 진행되는 직군입니다.
[반도체 분야(SK Hynix) 예시 1]
생산장비의 Set-up, 검교정 및 정비, 장비의 최적 가동 상태 유지 업무, Gas/Chemical 설비운영 및 유지 보수업무를 진행합니다.
전공 |
전문대 학력 소지자로 반도체, 전자, 전기, 기계 관련 전공
근무형태 |
4조3교대 근무(07:00~15:00/15:00~23:00/23:00~07:00)
[반도체 분야(크린팩토메이션) 예시 2]
Maintenance 운영 담당반도체 공정 자동화 장비 유지보수모니터링, PM(사전보전), Recovery 등 크린룸 상주 및 교대근무
전공 |
자동화관련, 기계, 메카트로닉스, 전기, 전자 등 공과계열
근무형태 |
4조 2교대
메인터넌스는 오퍼레이터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 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했을 때, 오퍼레이터는 설비를 가동, 조작하는 생산 작업자고 메인트는 생산장비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고치며 설비 유지, 보수를 진행합니다.
메인트 필수 역량
(설비 관련 지식) 메인트는 설비를 직접 보수해야합니다. 설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실하게 이해해야지만 발생한 문제에 대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책임감) 메인트는 설비가 유지될 수 있게 해줍니다. 만약 하나의 기계가 작동이 멈춘다면 모든 라인에 피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책임감과 주인의식을 가지고 일에 임해야 합니다. 타인의 안전에 직결될 수 있다는 사실도 유념해야 합니다.
메인트 추천 자격증
• 전기 산업기사
• 지게차 운전 기능사
• 산업안전 산업기사
취린백과 직무편은 다음주 2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더 살펴보고 싶은 직무가 있다면 고초대졸 블로그 문의 탭을 이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