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에 임하는 신입의 자세

들어가며

비단 현장 생산직군 채용에 국한되는 현상은 아니나, 중고신입(경력자)의 채용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측에서는 즉시 투입 가능한 인력, 즉 초기 교육 및 적응 비용이 적게 드는 사람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이미지 출처 : 인그루트

특히 제조업계는 인력 공백이 생산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실무 경험이 있는 지원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이에 더해 젊은 층(특히 고스펙)의 잦은 퇴사 또는 이직으로 "신입은 채용해도 금방 퇴사한다"는 인식이 퍼진 것도 원인 중 하나이며, 언젠가부터 나이컷을 올리고 신입은 서류조차 통과하지 못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이번 글은 신입이 면접을 어떻게 준비하고, 어떤 태도로 임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중고신입의 장단

중고신입은 자신이 했던 업무, 익숙한 공정, 사고 대응 경험 등 구체적인 실무 사례를 바탕으로 어필할 수 있습니다.

사측에서도 1~3년 정도 경력에 큰 기대를 하는 것은 아니나, 동종업계라면 마다할 이유가 없습니다.

CNC, MCT 등 기계 가공 업무를 했다면 적어도 G코드와 M코드가 무엇인지, 척 또는 바이스에 제품을 물리고 빼는 것을 알 것이고, 석유화학에서 생산 등의 업무를 했다면 적어도 컨트롤 밸브와 바이패스 밸브가 무엇인지, 로컬을 돌면서 기본적인 계기는 볼 줄 알 것이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완전히 다른 산업군의 회사에 지원하더라도, 지원 동기 및 이직 사유만 잘 풀어낸다면 현장에서 일해 봤다는 자체만으로 플러스 점수는 되는 것입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그러나 굳이 단점을 생각해 보자면 예전 회사의 방식에 익숙해져 변화에 둔감하거나, 조직 내에서 유연하게 융화되지 못하는 경우도 (일부) 있을 수 있습니다.

신입의 장단점

신입 지원자는 경험이 없다는 점에서 불리하지만, 이러한 점을 잘 활용해야 합니다.

그만큼 회사의 문화에 맞게 "깨끗하게 새로 배울 수 있는 상태"로, 마치 있는 그대로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와 같음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이른바 "성장 가능성"과 "순응성"에서 신입만의 강점이 드러나는 부분입니다.

면접관이 신입 지원자를 평가할 때 고려할 요소로써 태도와 자세 외에는 마땅치도 않습니다. (연고지 등 기타 사유 제외)

왜 이 직무를 하고 싶은지?, 얼마나 진지하게 준비했는지?, 얼마나 알고 왔는지? 등이 핵심이 되겠습니다.

(회사마다 다르지만) 중고신입은 면접에서 주로 이직 사유, 현재 또는 전 직장에서 "어떠한 업무를 수행했는지"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게 됩니다.

그러나 신입은 태도와 자세로 평가받습니다.

실무 경험이 없다는 이유로 주눅이 들기보다는 신입다움을 살리되, 무능력해 보이지 않는 모습을 보여줘야 합니다.

가장 어려운 부분이 바로 밸런스인데, 신입이 겸손을 강조하다 보면 아무것도 못 하는 사람처럼 보일 수 있고, 자신감을 드러내면 근거 없는 허세로 보이기 쉽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은 없지만, 그와 비슷한 상황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대응해 봤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멘트로라도 답변할 수 있게끔, 전공 자격증 취득 및 다양한 대외활동을 하시거나 아르바이트라도 하시라고 웨비나를 진행할 때 포함하여 매번 말씀드렸었습니다.

이처럼 구체적 근거나 관련된 비유를 들어서 자신의 준비된 태도를 강조하면 면접관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신입다운 자세란?

1️⃣ 겸손하지만 주체적인 태도와 배우고자 하는 자세

공정 및 업무 등을 빠르게 습득하겠다는 의지로써, “가르쳐 주세요”가 아니라 “배우겠습니다, 익히겠습니다”라는 적극성입니다.

꾸준함, 책임감, 성실함은 말이 아닌 행동이나 사례로 보여줘야 합니다.

주도적으로 일하려는 마음(사고 치라는 뜻은 아닙니다)과 조직 문화에 적응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2️⃣ 철저한 사전 조사와 직무에 대한 진정성

면까몰이라고는 하나,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그냥 취업하려고 지원했다"는 느낌이 드는 순간 탈락입니다.

회사 설비, 제품, 공정 흐름 등 가능한 한 사전조사를 통해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줘야 합니다.

기본적인 회사 및 제품 정보, 공정 영상, 현직자 조언 등을 미리 공부한 흔적은 지원자의 성의를 보여주는 가장 큰 무기입니다.

3️⃣ 성장 욕구 + 꾸준함

회사 내에서 본인 커리어를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것인지에 더해 장기근속 의지를 표출해야 합니다.

아무리 똑똑해도 오래 다닐 것 같지 않으면 뽑지 않습니다.(고스펙이 미끄러지는 경우)

4️⃣ 뚜렷한 목표 의식

"왜 이 직무인지", "왜 이 회사인지"에 대해 자신의 언어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경력자가 넘쳐나는 현장에서 신입이 가진 유일한 무기는 태도와 자세입니다.

결국 신입답게 "정직하고 겸손하면서도, 적극적이고 준비된 태도"

그것이 바로 신입이 가져야 할 최고의 면접 전략입니다.

남들과 비교하지 마시고 지금의 나로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한다면, 그 모습 자체가 바로 합격에 가까워지는 첫걸음입니다.

여러분의 면접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3줄 요약

1️⃣ 제조업 등 생산직 채용 시장에서 즉시 투입 가능한 중고신입 선호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신입은 태도와 자세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신입은 경험 부족을 ‘성장 가능성’과 ‘순응성’으로 어필해야 하며, 철저한 사전 조사와 뚜렷한 동기 부여가 핵심입니다.

3️⃣ 신입다운 겸손한 태도, 배우려는 자세, 장기적인 커리어 비전 제시는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입니다.
You've successfully subscribed to 디맨드 블로그
Great! Next, complete checkout to get full access to all premium content.
Error! Could not sign up. invalid link.
Welcome back! You've successfully signed in.
Error! Could not sign in. Please try again.
Success! Your account is fully activated, you now have access to all content.
Error! Stripe checkout failed.
Success! Your billing info is updated.
Error! Billing info update fai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