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역량검사 : 신역검

들어가며

현재 생산직군 기준으로 비중이 그렇게 큰 것은 아니지만, 채용 전형 단계에 AI역량검사를 도입한 회사들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적성검사를 대신하여 AI역량검사를 보는 회사도 있고, 인적성과 AI역량검사를 함께 보는 회사도 존재합니다.

역량검사만 실시하는 경우 아무래도 인적성을 대신하다 보니 전형 결과에 비교적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유추해 볼 수 있겠습니다.

인적성과 함께 역검을 보는 경우 일찍이 서류 전형에서 역검을 동시에 제출하는 회사도 있는데, 불합격 시 스펙이 부족했던 것인지 역검을 잘 보지 못한 것인지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면 오히려 시간을 절약할 수도 있습니다.

면접전형 확정 이후 지정일까지 역검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는 역검 결과 그 자체가 채용전형 합불에 영향을 준다고 보기는 어렵고, 추후 면접관들이 역검 결과를 참고하여 지원자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수단으로 보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실제 최근 S 정유사 면접자의 후기를 들어보면, 역검에서 드러난 본인의 성향을 "검증"하는 듯한 질문을 받았다고 합니다.

AI역량검사는 크게 "구역검"과 "신역검"으로 나뉘는데, 구역검은 말 그대로 예전 역검으로써 현재는 일부 회사를 제외하면 자취를 감추었고, 대부분이 신역검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0️⃣ 공통

신역검은 "잠시 쉴게요"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역검 중간에 자리를 비울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화장실 등)

물론 진행 중에는 불가하고, 예를 들면 가위바위보 게임을 모두 마치고 홈 화면에서 버튼을 누른 후 휴식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아주 "적극적으로"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쉬는 동안은 영상 녹화가 되지 않습니다.
충분히 리프레쉬한 후 다시 집중력을 높여 게임이든 영상면접에 임하시는 게 훨씬 결과가 좋으실 겁니다.

제가 실전에서 여러 번 실험해 본 결과, 기능을 자주 사용한다고 하여 페널티가 있지는 않은 거 같습니다.

1️⃣ 성향 파악

나 알아보기, 타인 관점에서 나 알아보기, 하나만 선택하기, 여러 개 선택하기의 4개 섹션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사진 : AI역량검사 > 성향 파악 예시

1-1. 나 알아보기

온라인 인성검사와 크게 다르지 않은 수준이고 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매우 그렇다까지의 육지선다이며, 총 124문항에 문항당 체크 시간은 10초 내외이므로 시간 내에 잘 체크해 주시면 될 듯합니다.

1-2. 타인 관점에서 나 알아보기

내가 생각하는 나와 타인이 생각하는 나를 모두 체크하면 되는데, 나 알아보기와 마찬가지로 육지선다입니다.

포인트는 둘 사이의 괴리가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그렇다와 그렇다로 체크하거나 그런 편이다와 그렇다 정도로 체크하는 편이 좋을 듯합니다.

1-3. 하나만 선택하기

나 알아보기와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고 겹치는 문항이 많으므로 일관성에 유의하여 체크해야 하며, 따로 선지는 없습니다.

1-4. 여러 개 선택하기

자신을 가장 잘 설명하는 순서대로, 또는 자신과 가장 관련이 없는 순서대로 주어진 문장을 체크합니다.

이건 잘 보시면 어느 정도 정답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잘 보시고 체크하시되,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가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이후에는 본인 성향에 대한 질문들이니 소신껏 체크하시면 됩니다.

2️⃣ 게임

가장 귀찮고 힘든, 역검 게임은 하고 나면 기운이 다 빠진다고들 하십니다.

사진 : AI역량검사 > 게임 예시

제가 개인적으로 느꼈던 게임의 난이도는 쉬운 순서대로 아래와 같습니다.

🕹️
고운님이 생각하시는 게임의 난이도
가위바위보 > 숫자 누르기 > 길 만들기 > 약속 정하기 > 도형 회전하기 > 개수 비교하기 > 도형 순서 기억하기

이 부분도 역시 전략적으로 접근해 볼 수가 있는데, 어려운 게임을 먼저 해서 초반 집중력을 발휘할 수도 있습니다.

잡다에서 충분히 연습 후 어느 정도 감을 잡으시고, 실전에서도 연습하기를 충분히 해 보시기 바랍니다.

게임의 성적 그 자체가 매우 중요한 요소인지 아닌지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당연히 될 수 있으면 잘 보는 게 좋은 것은 사실입니다.

초반에 게임을 몇 번 틀리고 실수하더라도, 끝까지 멘탈을 잃지 않고 꾸준하게 임하는 모습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간혹 중간에 육성으로 욕을 하거나 아예 포기하고 다 찍는 분들도 계신데, 끝날 때까지는 해 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3️⃣ 영상 면접

기본적으로는 자기소개, 기본 면접(지원동기), 성격의 장단점 등이 있고, 이 3개가 보통 모든 회사의 검사에서 공통적으로 나옵니다.

사진 : AI역량검사 > 영상 면접 예시

이 외에 회사마다 추가적으로 경험 기반 면접, 상황 면접, 가치관 면접, 강약점 면접, 질문 선택 면접 등이 추가되는데, 이 경우 당연히 회사마다 질문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경험 기반 면접의 한 질문을 예로 들면, "목표를 이루었던 가장 성공적인 경험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라는 질문에서 "나의 어떤 점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했나요?"
"말씀하신 강점이 앞으로 일하는데 어떤 도움이 될까요?"

위 2개의 꼬리질문도 함께 출제됩니다.

질문 리스트는 회사마다 상이하지만 정해진 틀이 있으니 관련해서 검색해 보시고, 본인은 정말 간절하고 자신이 없으시면 질문 리스트를 모두 스크랩하여 답변을 만드시고 연습하신 뒤 실전에 들어가시길 바랍니다.

간혹 실전에서 가나다라만 읊거나, 노래를 불렀는데 합격했다는 소리가 진실인지 허구인지 몰라도 그러지는 않으셨으면 합니다.

이유는 다들 아실 겁니다.

답변하실 때 눈동자는 캠을 보든 화면을 보든 상관 없지만 최대한 안 흔들리는 게 좋고, 입술을 물거나 하는 행동이 사람마다 무의식적으로 나올 수도 있는데 최소화하셔야 합니다.

당연히 답변을 저는 것보단 또박또박 말하는 게 더 좋고, "목소리 톤"과 "말하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영상 면접에서도 30초의 준비 시간과 한 번의 다시하기 기회가 주어지는 만큼, 잘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마치며

취업을 위해 우리가 거쳐야 할 관문이 정말 너무도 많지만, 꾸준히 도전하시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역검만이 아니라 인적성, 면접 준비도 철저히 하셔서 좋은 기회를 잡으셨으면 좋겠다는 바람입니다.

🧷
3줄 요약

1️⃣ AI역량검사는 성향 파악, 게임, 영상 면접으로 구성되며 일부 기업은 인적성 대신 또는 함께 진행한다.

2️⃣ 성향 파악은 일관성과 시간 관리가 중요하며, 게임은 난이도별 전략과 집중력 유지가 필요하다.

3️⃣ 영상 면접은 자기소개, 지원동기, 성격 등 기본 질문과 꼬리 질문이 포함되며, 답변 태도와 목소리 톤 유지가 관건이다.

크리에이터에게 궁금한점, 디맨드 커뮤니티에서 물어봐🙋🏻‍♂️

You've successfully subscribed to 디맨드 블로그
Great! Next, complete checkout to get full access to all premium content.
Error! Could not sign up. invalid link.
Welcome back! You've successfully signed in.
Error! Could not sign in. Please try again.
Success! Your account is fully activated, you now have access to all content.
Error! Stripe checkout failed.
Success! Your billing info is updated.
Error! Billing info update failed.